영어학의 이해3
영어음운론
1. 음소와 이음
ㄴ음소(phoneme포님) : 뜻의 차이를 유발시키는 최소단위 최소단위가 폰임
tin - din din - dim din - dean
추상적이고 심리적임(영어 화자들은 음소가 실제로 어떻게 발현되는지 무감각할 수 있음)
ex) toe[thou] stow[st=ou] oat[outㄱ] 각각 다른 음소지만 원어민은 동일한 음소로 파악함.
ㄴ이음(allophone앨러폰) 이음은 음소의 코끼리(앨리펀트) : [th] [t=] [tㄱ] 는 /t/의 이음
★★상보적 분포 : 하나의 음소가 여러가지 이음으로 발현될 때
그 음성적인 환경은 배타적이다(서로 안겹침)
2. 변별적 자질
/t/와 /d/의 음성자질을 비교하면 voiced(유성자질)의 차이를 빼고는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짐.
→voiced는 이 두 음을 구별해주는 변별적 자질(distinctive feature)이 됨.
●자음의 음성자질
voiced
anterior
coronal
del.rel.
continuant
nasal
lateral
strident
sonorant
syllabic
유성자질
전방성질
설정성질
탈락
지속자질
비음자질
설측음
소음자질
공명성질
음절성질
3. 음운의 변동
ㄴ동화작용 - 순행동화 : 앞에 음이 뒤에 음에 영향을 줌
ex) maps[mæps] - knobs[nɑːbz] → 음성자질 : voiced
dry[draɪ] - cry[kraɪ] → cry의 /r/은 유성음이지만 c를 따라 무성음화됨
- 역행동화 : 뒤에 음이 앞의 음에 영향을 줌
ex) sunbathe[sʌmbeɪð] → 양순음 /b/에 따라 양순음 /m/으로 변화
sunscream[sʌŋkriːm] → 연구개음 /k/에 따라 연구개음 /ŋ/로 변화
ㄴ이화작용 : 2개가 비슷하고 가까이 있으면 그 중 1개가 바뀌는 현상
ex) diphthong[dɪpθɔːŋ] → ph는 /f/로 소리나나 /f/와 /θ/가 둘 다 마찰음이라 /f→p/로 발음
postal- polar→ 접미사-al과-ar은 동일하나
pol에 -al이 붙으면 polal로 /l/이 반복되기에 /r/로 붙인 것임.
ㄴ탈락 : 말음에서 여러 자음이 연이으면 중간에 있는 자음이 탈락되는 현상
ex) instincts[ɪnstɪŋts] → /k/ 탈락
landmark[lænmɑːrk] → /d/ 탈락
종종 모음도 탈락됨
ex) camel [kæml] → /e/ 탈락(무강세)
ㄴ첨가 : tuna oil[tuːnerɔɪl]→ 앞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고 뒷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될 때 사이에 /r/ 삽입됨
tomcat[tɑːmpkæt]→ 비음-마찰음/파열음 사이에 무성파열음 삽입
[출처] 영어학의 기초|작성자 캄블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