版权归作者所有,转载请注明出处
음운론은 음들이 어떻게 조직되며,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한다.
음소(음운): 뜻의 차이를 유발하는 최소의 음성 단위. (ex: tip과 dip에서 t와 d는 별개의 음소이다.)
최소 대립어: 오직 한 곳의 음소적 대립으로 뜻의 차이를 야기하는 한 쌍의 낱말.
이음(allophones): 한 음소가 환경에 따라 달리 발음되는 소리. (ex: p는 상황에 따라 ㅍ, ㅃ, ㅂ으로 발음된다.)
※ 음소는 기호 '/ /'에 넣어서 표시하고, 이음은 기호 '[ ]'를 사용하여 표시한다.
상보적 분포: 한 음소의 이음들이 나타나는 환경이 서로 중복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서 발음되는 성질.(ex: p는 어말에 위치하면 ㅍ이나 ㅃ으로 소리나지 않고 항상 ㅂ으로 소리가 남.)
자유변이: 이음들이 설사 상보적 분포를 어기고 중복된다고 해도 뜻이 차이를 초래하지 않는 것.
변별적 자질: 음소와 음소를 구별시켜 주는 자질. (ex: 무성과 유성, 구강음과 비음, 고모음과 저모음.)
음성자질: 소리와 소리를 구별시켜 주는 자질. (ex: [Nasal])
음운의 변동: 동화작용, 탈락, 이화작용, 첨가, 음위전환, 중화.
음운 규칙과 음절구조.
출처 영어학 개론 English Lingguistics 작성자 배움의 집